•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GO GREEN
  • [지구의 역습, 식탁의 배신]<수산편 ①>제주 바다, 얼마나 달라졌나?
  • 2018.01.11.
- 제주 수온 1.5℃ 상승, 해수면 6.16mm 상승
- 2100년 뒤 오키나와 해양 환경으로 변화 우려

[리얼푸드=(제주) 고승희 기자] 한반도의 가장 남쪽에 자리한 제주는 지난 수십년간 크고 작은 변화의 신호를 보냈다. 제주 맛집마다 간판을 내건 전복, 오분자기는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겨울을 앞둔 제주 바다에선 여름 어종이 낚이고, 자리돔 등 제주의 토종 어종은 울릉도와 독도로 이동했다. 정착성 어종은 사라지고, 아열대 어종이 세를 확장한다. 이 모든 변화는 수온 상승에서 출발한다.

지난 60년(1968년~2010년) 사이 한반도 해역엔 눈에 띄는 수온 변화가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한반도의 표층수온은 1.31℃가 올랐다. 제주의 변화는 더 드라마틱했다. 1924년 이후 연 평균 0.01℃씩 꾸준히 올라 1.5℃나 상승했다. 
제주 구좌읍 인근에서 물질을 하고 있는 해녀

고준철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박사는 “바다에서의 1℃는 육지에서의 10℃와 같다”며 “육지에서 봄, 가을이 줄고, 여름 겨울이 늘어나는 것처럼 바다에서도 같은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의 연평균 수온 변화도 꾸준히 나타났다. 2003년 18.9℃(연평균)였던 제주 바다는 10년 후인 2013년 19.3℃까지 올랐다. 2013년은 유난히 제주가 뜨거웠던 해다. 겨울철 수온도 15.1℃까지 치솟았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변화는 더 두드러진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1989년~2016년까지 한반도 해수면은 연평균 2.96㎜ 상승했다. 28년간 82.88㎜(약 8.3cm) 오른 셈이다. 특히 제주는 연평균 6.16㎜ 높아졌다. 다른 해역(동해 3.78㎜, 남해 2.48㎜, 서해 1.47㎜)에 비하면 월등히 높다. 제주의 경우 28년 동안 해수면이 172.48㎜(약 17.3㎝)나 상승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100년까지 한반도의 연근해의 표층수온은 약 3.04℃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60년엔 평균 수온이 21.8℃로 상승, 현재 제주도의 해양환경 여건이 중부 해역에 나타나게 된다. 고준철 박사는 “2100년엔 평균수온이 23.0℃로 상승해 제주 해역엔 일본 오키나와 해양 환경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shee@heraldcorp.com

[관련기사]
▶ [지구의 역습, 식탁의 배신] <수산편①>“오분자기는 씨가 마르고, 11월에 여름생선이 잡힌다”

[지금 뜨는 리얼푸드]
▶ 담백한 햄프씨드 칼국수 레시피
젊음의 씨앗을 '맛있게' 먹는 7가지 방법
초코 VS 베리, 당신의 선택은?
새해엔 샐러드를 더 많이 먹어야 하는 이유
한겨울, 다이어트 짱인 슈퍼씨드 4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