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퇴행성관절염 겪는 젊은 환자 늘어나는 이유는?
  • 2022.01.13.
수원 에스서울병원 이주현 원장은 "최근에는 기존 장년층뿐 아니라 과격한 운동을 즐기거나 몸을 많이 쓰는 직종의 30대 후반~40대 연령층에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무릎에서 자주 ‘딱딱’ 소리가 나고, 시큰거리기 시작한다면 무릎 퇴행성 관절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이는 무리하게 관절을 써 연골이 닳고 손상돼 무릎뼈가 맞닿아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한 관절염으로 연골이 벗겨지면 노출된 뼈가 마주치면서 딱딱 소리가 난다.

이는 누구나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나이가 들수록 겪을 수밖에 없는 노화현상의 일종이다. 이를 막으려면 평소 하체 근육을 관리하고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게 권고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 장년층뿐 아니라 과격한 운동을 즐기거나 몸을 많이 쓰는 직종의 30대 후반~40대 연령층에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

이주현 수원 에스서울병원 정형외과 원장은 “퇴행성관절염은 노화가 원인이다보니 노년층에게만 발병하는 질환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이보다는 무릎 관절을 많이 쓸수록 빨리 닳을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질환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젊은층의 퇴행성 관절염은 대체로 비만이나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비만관리가 중요한데, 무릎은 체중을 오롯이 받는 부위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엿다.

등산, 농구, 축구, 스피닝, 스키 등 격한 운동은 무릎 연골 마모에 영향을 준다. 이같은 운동 시 무릎 관절은 지속적인 충격을 받고 연골 손상으로 이어지기 쉽다. 그렇다고 해서 운동을 그만 둘 필요는 없다.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찾아 자신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강도로 진행해 무릎 주변 근육을 키우고 체중을 줄이는 게 포인트다.

단, 의심증상이 느껴지면 지체없이 정형외과 등을 찾아 조기치료에 나서야 한다. 이주현 원장은 "상대적으로 젊은 중년층에서의 퇴행성 관절염은 발견이 늦는 경우가 많고 연골 자체에 신경세포가 존재하지 않다보니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거나 심하지 않아 발견이 어렵다. 특히 나이가 젊으면 ‘내가 무슨 관절염’하고 넘기기도 부지기수"라고며 “결국 연골이 어느 정도 닳기 시작해 양쪽 관절이 맞닿을 때 증상이 나타나 뒤늦게 진단받는다. 어떤 질환이든 조기치료가 유리하듯, 퇴행성 관절염도 마찬가지다. 최대한 연골이 남아있을 때 적절한 치료 및 관리를 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를 단순히 누구나 겪는 과정이라고 여겨 방치해서는 안 된다. 퇴행성관절염은 현재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이를 방치할 경우 다리 모양을 변형시켜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주현 원장은 “관절염은 증상이 가벼운 초기부터 통증이 심해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4기로 단계가 나눠지는데, 최대한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며 “이는 질환성 질환인 만큼 초기에 통증을 잡고 아프지 않은 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관절염 1기 등 초기에는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주사요법 등 비(非)수술 치료에 나선다. 4기에는 손상된 관절을 인공 구조물로 대체하는 인공관절 삽입수술을 받아야 한다. 치료와 함께 일상 속 통증관리를 병행하는 것도 좋다. 적정 체중유지와 하체근력 강화는 기본. 또, 관절염 환자의 무릎은 환경과 기온에 민감해 잘 관리해야 한다. 특히 추위에 약한데, 근육·혈관의 수축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관절 유연성이 저하돼 통증이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따뜻한 온찜질이 도움이 된다. 이 원장은 “찜질은 염증을 근본적으로 치료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관절 주위 조직 긴장을 완화시켜 혈액순환을 돕고 관절액을 활성화시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