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 뉴스레터
  • 모바일
  • Play
  • 헬스
  • 대구, 의료전달체계 붕괴 위기…선별진료소 무용지물?
  • 2020.02.20.
19일 오후 대구시 서구 중리동 대구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검사를 받으려는 의심 환자들이 검사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이날 대구의료원에는 의심 환자가 많이 몰리며 코로나19 확인 검사가 늦어졌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대구와 경북지역 대학병원 응급실이 코로나19 확진자와 의심환자들의 다수 발생으로 인해 폐쇄되는 등 비상조치에 들어가면서 지역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응급실은 경북대·영남대·계명대·대구가톨릭대 등 4곳이다. 지난 18일 오후 3시 계명대 동산병원을 시작으로 경북대·영남대·대구 가톨릭대가 차례로 폐쇄됐다. 영남대는 19일 오전 11시 폐쇄 조처를 해제했다가 이날 오후 3시 24분 또다시 폐쇄했다. 이로인해 대구 지역 대학병원 응급실 5곳 가운데 4곳은 폐쇄된 상태이다.

대구는 엎친데 덮친격으로 확진자를 격리 치료할 음압병실도 54개에 불과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상당수를 이미 다른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어, 추가 확진자가 나올 경우 병실 부족 문제는 시간문제인 것으로 알려지고있다.

확진자의 동선 등을 조사할 대구시 소속 역학조사관도 2명에 불과하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미 지자체의 역량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중앙 정부에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한 상태이다.

현재 대학병원 등 대형병원에서는 응급실 바깥에 의심환자를 위한 음압텐트를 갖춘 선별진료소를 설치해서 의심환자가 응급실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있지만 폐렴과 그외 다른 중증 상황으로 응급실 안으로 들어온 경우도 있어 감염환자를 막기위한 선별진료소의 기능이 ‘무용지물’이 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 배포한 코로나19 간염 예방관리지침 중 의료기관용 매뉴얼에는 응급실에 대해 ‘의심환자가 응급실에 들어갔을 때 체류시간을 최소화하고 감염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는 간단한 지침만 있어 사실상 응급실 폐쇄에 대해서는 병원이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응급실 폐쇄 조처가 내려지면 해제가 되기까지는 아무리 짦아도 3일 이상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질병관리본부 매뉴얼에 따르면 의심환자가 확진을 받기까지 사전조치로 응급실을 폐쇄하면 적어도 하루 정도의 세밀한 방역을 거치고 담당 의료진 일부를 격리하고, 기존 응급실 환자를 일반 병실로 분산 수용하는 등 후속 조처를 하게된다.

하지만 이같은 응급실 폐쇄조치가 해당 지자체의 의료전달체계를 무너뜨리고 시민들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줄수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대구처럼 지역내 3차의료기관 응급실이 전부 폐쇄 된 경우 3일이라도 당장 외상환자나 골절환자 기타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들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들이 갈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서울의 고대안암병원의 경우도 환자가 응급실 방문하고나서 확진이 돼서 긴급폐쇄했다가 방역을 마치고 다시 오픈했다”며 “대형병원들의 의심환자 방문시 전격적인 응급실 폐쇄가 다소 과민반응이 아니냐는 견해도 있지만 감염관리의 최전선인 병원입장에서는 병원밖의 선별진료소로 못막고 병원 안까지 감염이 의심되는 상황에서는 지난 메르스 때처럼 의료진 감염 상황도 발생할 수 있고 병원 전체가 ‘슈퍼전파’의 온상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다소 과할 정도로 하는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정부는 아직까지도 지금 사태를 본격적인 지역감염 유행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지금 대구처럼 지역감염 사례가 대량으로 나온 것은 초반에 중국 후베이성만의 전수조사를 했지만 결국 30여명은 추적이 안됐고 후베이성 외의 광둥성 등의 입국자등 신경을 못쓴 ‘빈틈’으로 들어온 감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금 병원에 폐렴등 중증으로 들어와서 확진된 사람들이 아닌 경증의 무증상 감염자들의 지역감염 차단에 잔력을 다해야한다”고 말했다.

kty@heraldcorp.com

관련기사